한국 시간으로 2022년 6월 7일 화요일 새벽 2시에 애플의 세계 개발자 회의인 WWDC22가 시작되었습니다. 행사 시작과 함께 WWDC 키노트로 올해 하반기에 출시할 iOS 16, iPadOS 16, macOS 13, watchOS 9, tvOS 16등과 다른 애플 기기들이 공개가 되었습니다.
저도 직접 밤을 새면서 라이브로 봤었는데요. 가장 흥미로웠던 것들 위주로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가장 먼저 애플 공식홈페이지에 있는 WWDC22. 제목 아래 M2 칩셋을 탑재한 새로운 맥북 에어와 맥북프로, 다른 OS들을 발표했다고 써있네요.
먼저 iOS 16이 등장했는데요. 잠금 화면에 위젯들을 추가해 더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해졌습니다. 사실 갤럭시 폰에서도 전부터 계속 할 수 있었던 것들인데 이번 iOS에도 들어갔네요.
그리고 맥북 에어가 등장했는데, 옆에서 봤을 때 얇아지는 테이퍼 디자인이 아닌 작년 출시했던 맥북 프로처럼 전체가 평평한 디자인으로 출시되었습니다. 이름 그대로 얇고 가볍운데 디자인이 전체적으로 새로 리뉴얼되서 그런지 정말 매력적으로 보였습니다. 특히 가운데에 '미드나이트'라는 색이 새로 생겼고, 맥북 프로처럼 화면에 노치가 생겼고, 맥세이프 충전이 지원되는게 지난 맥북 에어와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거의 끝나갈 무렵 기다리고 기다렸던 iPadOS 16이 마지막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제가 아이패드 프로 11 3를 쓰고 있어서 그런가 직접 사용할 수 있는 기기여서 더 기다려졌었는데요. 전부터 열려있는 앱들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루머들이 실제 스테이지 매니져로 발표되었습니다.
사실 메세지를 보내고 전송 취소나 오타 수정을 한다거나,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면서 문서를 작성하는 기능도 등장했지만,
가장 흥미로웠던 부분은 스테이지 매니져였습니다. 항상 화면을 반반이나 1:3 비율로 밖에 사용을 못했는데, 이제는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외장 모니터를 활용하면 더 많은 프로그램들을 활용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항상 틀에만 갇혀서 프로그램을 쓰다가 더 재미있게 아이패드를 쓸 수 있게 될 것 같아 더 기대가 되는 기능이었습니다. 아쉽게도 스테이지 매니져 기능은 M1칩셋이 탑재된 아이패드에서만 지원이 된다고 하니, 미니6나 에어4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아쉽게도 활용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
WWDC22의 아이패드 기능들이 너무 궁금해서 저도 바로 iPadOS 16 베타 버전을 설치해봤는데요.
원래는 아이튠즈에 연결해 백업을 하고서 진행을 하지만, 저는 급한나머지 바로 진행을 했습니다.
아이패드로 아래에 있는 베타 프로파일 홈페이지에 들어가 설치하고, 설정에서 베타 버전OS를 다운받아 업데이트 해줬습니다.
Download Beta Profiles
Download latest beta profiles for iOS, iPadOS, macOS, watchOS and tvOS.
betaprofiles.com
요런 설정들이 나오는데, 비밀번호도 누르고 계속 설치를 눌러주면 '재시동'이라고 재부팅을 하게 됩니다.
저는 약 10분정도 걸려서 프로파일 설치를 끝냈는데요. 와이파이 속도에 따라 더 늦어질 수 있으니 주의바랍니다.
설치가 끝나고 나면,
그리고 메모와 같은 다른 문서 작성 어플에서 공동작업이 가능해졌습니다.
그리고 날씨 어플이 생겼습니다. 매일 인터넷 바로가기를 홈화면에 놓고 날씨를 보곤 했는데, 이제는 바로 어플로 볼 수 있게 되었네요.
그리고 오른쪽에 제어 센터를 내려보면 오른쪽 가장 아래에 Stage Manager 아이콘이 생겼습니다. 저 아이콘을 켜주시면,
이렇게 WWDC22에서 봤던 화면으로 전환이 됩니다. 열려있는 어플들의 위에 점 세개를 누르면 편하게 창을 움직일 수도 있고, 아래에 약간 꺾인 모양들을 마우스나 터치로 눌러주시면 창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전체 화면으로 봐야 하는 어플들은 창 조절이 어려웠습니다.
다만 아직 완성된 펌웨어가 아니라 오류가 조금씩 있었는데요. 저도 다양하게 활용을 하다가 위 사진처럼 크레쉬가 난 걸 볼 수 있었습니다. 그래도 신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어서 신기했습니다.
iPadOS16 beta 테스트 영상입니다.
다음은 모니터를 확장시켜 스테이지 매니져를 활용해봤습니다. 저는 크로스오버 279Q3 모니터에 DP to C케이블을 꽂아 연결을 했습니다. 처음에 확장이 안되서 많이 당황했는데, 알고 보니 마우스가 별도로 연결이 안되있어서 그랬습니다. 확장된 화면에 어플을 놓고, 컨트롤을 하려면, 마우스나 트랙패드가 있어야겠죠. 저는 저번에 리뷰했던 MX Master 2S를 아이패드에 블루투스로 연결을 했고, 마우스가 연결되자마자 바로 확장 화면으로 바뀌는 걸 볼 수 있었습니다. 키보드는 별도로 연결이 없이 마우스만 연결해도 모니터 확장은 가능했는데요. 다만, 아이패드에 키보드가 따로 나오지 않아 활용은 어려웠습니다.
그리고 오류가 있어서인지 QHD화면인데 확장화면으로 옮기면 자꾸 4K로 인식이 되어 화면이 짤렸습니다. 아직 실사용은 어렵지만, M1 아이패드의 미래가 긍정적이라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WWDC22를 보고난 후, 아이패드에 베타 프로파일을 설치해본 후기를 적어봤습니다. 아직 정식 프로파일이 아니라 키보드가 안보인다거나, 오류창이 뜨는 등 오류가 많았지만, 재미있는 기능들을 먼저 써볼 수 있어서 재미있고 신기한 경험이었습니다. 애플 실리콘과 함께 소프트웨어도 나날이 좋아지는걸 느낄 수 있었네요.
혹시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저처럼 iPadOS 16을 올려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아보이네요. 다만 백업은 필수입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3D프린터 압출불량 해결 및 LED장착기 (0) | 2022.06.28 |
---|---|
나의 작업실 & 방 꾸미기 (0) | 2022.05.25 |
3d프린터로 카카오프렌즈 어피치 아트토이 만들기 (0) | 2022.04.24 |
3d프린터로 카카오프렌즈 라이언 아트토이 만들기 (0) | 2022.04.18 |
3dsMax로 공룡 아트토이 만들기 (0) | 2022.04.03 |